<p></p><br /><br />[리포트]<br>싱가포르에서 열린 북-미정상회담 관련 소식 하태원 국제부장과 뉴스분석으로 이어갑니다. 오늘의 분석 키워드는 뭡니까? <br> <br>5일 앞으로 다가왔는데 미국과 북한 정상의 움직임이 판이합니다. 동선을 꼭꼭 숨긴 김정은 위원장은 침묵모드로 들어갔는데요. 트럼프 대통령은 잘 준비된 한판의 쇼를 준비하는 듯 합니다. <br><br>[질문1] 여전히 판문점에서는 비핵화 실무팀의 협상이 진행되곤 있지만 얼추 협상의 얼개는 나오고 있는 것 같네요? <br><br>외신을 통해 미국의 입장이 조금씩 흘러나오고 있습니다. 12일 첫 정상회담이 모든 것을 결정하는 세기의 담판장이 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. <br><br>트럼프와 김정은 두 사람이 일단 선언적인 비핵화 의지를 표명하는 수준에서 첫 만남이 정리될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합니다. <br> <br>CNN은 13일까지 회담이 연장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고, 블룸버그는 회담이 잘되면 플로리다의 마라라고에서 2차 정상회담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습니다. <br> <br>어떤 경우에도 한번에 일괄타결식 비핵화가 이뤄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기류가 우세합니다. <br><br>[질문2] 어떤 방식으로 이야기가 진행될지, 그것도 대충 나왔습니까? <br> <br>선 핵폐기,후 경제보상이라는 리비아 모델이 사실상 설자리를 잃은 상태에서 이번에는 카자흐스탄모델이 급부상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른바 넌-루가 방식인데요. 소련 붕괴 이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등에 남은 핵물질을 폐기하고 처리하는데 기술과 자금을 제공했던 내용입니다. 최종 마무리까지 21년의 세월이 걸렸다는 부분을 주목해야 합니다. <br> <br>트럼프 대통령이 5일 넌과 루가 전 상원의원을 직접 백악관에서 만나 자세한 설명을 들었고. 이 자리에는 펜스 부통령이 배석했습니다. <br><br>특이한 것은 당시 미국은 핵과학자들에게 다른 일자리를 제공하고, 다른 일을 할 수 있는 직업훈련까지 시켜줬다는 점입니다. <br><br>[질문3] 현재까지로선 트럼프 대통령이 회담결과에 대해 자신만만해 하는 분위기인데요. 그럴 만한 근거가 있나요? <br><br>세계 최고의 정보력을 자랑하는 미국 정보기관을 통한 인물탐구가 그 근거입니다. 앤드류 김 중앙정보국 한국미션센터장의 자세한 보고가 바탕이 됐습니다. <br> <br>유럽문화에 대한 동경과 존경이 있어 김일성, 김정일보다 협상상대로 더 쉽고, 미국편으로 만들 수 있는 사람으로 판단했다는 겁니다. 한마디로 말귀가 통할 사람으로 본 것인데요. <br> <br>트럼프 대통령의 법률자문을 맡고 있는 줄리아니 전 뉴욕시장은 이미 기 싸움에서 트럼프가 이겼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<br>[루디 줄리아니/전 뉴욕시장]<br>핵 전쟁을 통해 미국을 굴복 시키겠다고도 했습니다. 그런 상황에서는 정상회담 할 수 없다고 했죠. 그러자 김정은이 두 손 두 발 다 들고 정상회담을 하자고 구걸한 것입니다. <br><br>[질문4] 북-미간 중재자 역할을 자임했던 우리 정부지만 비핵화 문제에 대해서는 거의 목소리를 내지 않고 있는 것 같습니다. <br> <br>기본적으로 비핵화 문제는 북한과 미국간에 담판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라는 것이 문재인 대통령과 외교안보 핵심들의 공통된 인식입니다. <br><br>하지만 비핵화에 대한 보상과정에서 우리 정부의 돈이 들어갈 수 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우리의 요구가 충분히 관철되도록 좀더 적극적인 참여외교가 필요해 보입니다. <br><br>지나치게 종전선언에 집착한다는 인상이 강합니다. 주한미군으로 상징되는 한미동맹의 근간이 훼손될 가능성에도 촉각을 곤두세워야 할 것 같습니다. <br><br>하태원 국제부장이었습니다. <br>